재산분할 기여도 판례 사례: 7억 2천만 원 승소 비결

재산분할 기여도는 이혼 소송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 중 하나입니다. 단순히 명의가 아니라 혼인 기간 동안의 경제적·정서적·가사적 기여 전체가 고려되기 때문입니다. 이번 사례는 30년 혼인생활 끝에, 회사 주식까지 분할 대상으로 인정받아 7억 2천만 원을 확보한 주목할 만한 판결입니다.

재산분할 기여도 판결문

실제 판결문 일부 - 재산분할 기여도가 인정된 사례

이 글은 조아라 변호사의 실제 변호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조아라 변호사

조아라

법무법인 김앤파트너스

재산분할 이혼소송 가사사건

중앙대학교 법학과 졸업,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석사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도산/이혼 전문변호사

사건 개요와 쟁점

의뢰인은 30년간 공무원으로 근무하며 두 자녀를 양육하고 가정을 책임져 왔습니다. 반면 남편은 퇴직 후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겠다며 직장을 그만두었고, 이후 장기간에 걸쳐 부정행위를 지속하며 가정에 소홀했습니다.

사업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생활비와 자녀 교육비는 물론, 초기 사업자금까지 의뢰인이 책임졌습니다. 실제로 원고는 남편의 회사 운영을 위해 수천만 원을 직접 송금하기도 했습니다.

피고는 사업이 자리를 잡자 회사 주식을 '특유재산'이라 주장하며 분할 대상에서 제외하려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재산분할 기여도 문제라기보다, 재산 자체를 은닉·축소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이에 저희는 이러한 주장을 철저히 반박하고, 동시에 의뢰인의 경제적·정서적 기여를 적극 입증하여 높은 재산분할 비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력했습니다. 이처럼 재산분할 기여도와 관련해 치열한 공방이 벌어진 것이 사건의 핵심이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근거

1) 장기간의 부정행위 입증

피고의 16년간 부정행위는 자녀 증언과 회사 오피스텔 사용 정황으로 명확히 입증되었습니다. 이는 혼인 파탄의 책임을 피고에게 돌리는 중요한 요인이었습니다.

2) 회사 운영에 대한 간접 기여

의뢰인은 생활비와 자녀 교육비를 모두 부담했을 뿐 아니라, 직접 사업자금 3천만 원을 송금했습니다. 이처럼 가사·경제·정서적 기여가 종합적으로 평가되어 재산분할 기여도에서 크게 반영되었습니다.

3) 재산 은닉 및 축소 시도 반박

피고는 주식 일부를 불륜 상대에게 양도하며 재산분할을 피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변호인단은 양도의 시점과 배경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의적 재산 축소임을 입증했고, 결국 해당 지분도 분할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4) 주식 가치 평가 논쟁

피고 측은 순자산가치 평가법을 주장했으나, 법원은 업종 특성과 실질 가치를 고려하여 기존 감정 결과를 인정했습니다. 이는 재산분할액에 직접적으로 큰 차이를 만들었습니다.

최종 판결 결과

법원은 회사 주식과 아파트, 예금 등을 모두 혼인 중 형성된 공동재산으로 인정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의뢰인은 재산분할 기여도가 충분히 인정되어 7억 2천만 원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핵심 교훈

이번 사례는 재산분할에서 단순히 명의만이 아니라 혼인 기간 전체의 기여가 고려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특히:

  • 사업체나 주식도 혼인 중 형성되었다면 공동재산이 될 수 있습니다.
  •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가사노동과 양육도 재산분할 기여도에 포함됩니다.
  • 부정행위와 재산은닉은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복잡한 재산분할 분쟁에서는 법률 전문가의 전략적 조력이 필수적입니다.

만약 유사한 상황으로 고민하고 계시다면, 언제든 저희 법무법인 김앤파트너스를 찾아주시기 바랍니다. 의뢰인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함께하겠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재산분할 기여도는 어떻게 산정되나요?
재산분할 기여도는 재산 명의자가 누구인지가 아니라, 혼인 기간 중 경제적·정서적·가사적 기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회사 주식도 재산분할 대상이 될 수 있나요?
네. 혼인 기간 중 형성된 회사 주식은 간접 기여가 입증되면 공동재산으로 분류되어 분할 대상이 됩니다.
배우자의 부정행위가 재산분할 기여도에 영향을 주나요?
영향을 줍니다. 장기간의 부정행위는 혼인 파탄 책임으로 작용하며, 재산분할 비율 결정에도 반영될 수 있습니다.
생활비와 자녀 양육만 담당했어도 기여도가 인정되나요?
그렇습니다. 경제적 직접 지원뿐 아니라 가사노동과 자녀 양육도 재산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재산을 은닉하거나 양도하면 어떻게 되나요?
법원은 고의적 재산 은닉이나 양도를 분할 회피로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재산을 분할 대상에 포함시킵니다.
법무법인 김앤파트너스 전화상담
📞 1577-2896

평일 9:00 ~ 18:00 | 토요일 9:00 ~ 13:00

📍 사무실 위치

주소: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330 4층

지하철: 2호선 교대역 1번 출구 도보 2분

전화: 1577-2896

주소: 대구 수성구 동대구로 353, 범어353타워 7층

교통정보: 대구 법원에서 120m, 도보 2분

전화: 053-741-7150

주소: 부산시 연제구 법원로 34, 정림빌딩 11층

교통정보: 부산법원에서 50m, 도보 1분

전화: 051-502-7100

주소: 창원시 성산구 창이대로689번길 4-4, 가야빌딩 4층

교통정보: 창원지방법원 정문에서 100m, 도보 2분

전화: 055-266-720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